I.서 론
비뇨기계 질환 중 요로결석은 일생동안 남성의 약 6-13%, 여성의 4-7% 가 한번 이상 경험하게 되는 흔한 질환으로1-3) 기원전 4,800년에 이미 기록에 나타나는 가장 오래된 질환이다 4). 이러한 질환은 극심한 옆구리 통증과 동측의 서혜부로 방사 되는 방사통, 척추늑골각의 압통이 있다5). 요로결석은 콩팥술 잔 내에서 충분히 성장하여 녹각석을 형성하기도 하지만, 충분 히 성장하기 전에 요류를 따라 하부요로로 이동하며 요관이나 방광결석으로 발견되는데6-7). 이는 생리적으로 요관의 구경이 좁은 부위에 걸리면서, 급작스런 요로폐색으로 인한 집뇨계 근육의 과도한 연동증강(hyperperistalsis)과 콩팥내의 막, 콩팥깔때기의 팽창에 의하여 심한 통증을 유발 한다4.). 이러한 증상과 혈뇨가 의심되는 환자에게 시행 한 경정맥 요로조영 검사(Intravenous urography : IVU)에서, 조영제 주입 전 엉덩뼈 능선(Iliac crest) 상단의 압박(Compression) 유무가 조영제 주행에 어떤 변화가 있는지 평가하고자 하였다.
II.실험 방법
2.1.후향적 영상평가
본 연구는 비뇨기계 조영 검사인 경정맥 요로조영 검사를 후향적 영상분석으로 평가하였다. 성별과 나이를 구분하지 않고 요로결석과 혈뇨가 의심되었거나, 요로결석의 영상판 독을 가진 환자 각 30 례를 대상으로 압박을 하지 않고(Non Compression) 얻은 영상(Figure 1. a)과 압박 후 얻은 (Compression) 영상(Figure 1. b)을 무작위로 검색하여 비 교하였다. 압박을 한 5 분 영상은 엉덩뼈 능선 상단에 압박 이 된 상태로 얻은 영상 검사이다(Figure 2).
2.2.실험 분석
영상평가는 영상저장전송장치에 DICOM 파일이 Networking 되어있는 Workstation에서 압박과 압박을 하지 않은 경정 맥 요로조영 검사를 분류한 후 조영제가 주입 된 5분 영상으 로 비교 평가하였다(Figure 3). 영상평가는 20년 경력의 방 사선사가 각각 교차 확인하였으며, 검사에 사용된 조영제의 종류, 용량, 검사진행 기준이 동일한 환경에서 적용된 영상 으로 하였다. 조영제 주행위치에 대한 해부학적 분포차이를 비교하기 위한 통계적 분석 방법으로는 피셔의 정확 검정 (Fisher’s Exact Test)을 하였다.
2.3.영상 평가
비뇨기계 요로경로를 인체의 해부학적 위치에 따라 일정 한 구역으로 나누어 오른쪽, 왼쪽을 RP, PL, IU, IL으로 4 단계 분류하였다(Figure 4). 영상분류에서 “RP”는 콩팥 피 라미드에서 콩팥깔때기까지, “PL”은 콩팥깔때기에서 요추3 번째 종판까지, “IU” 와 “IL” 은 양쪽 엉덩뼈 능선을 기준으 로 위와 아래로 나누었다(Table 1).
III.실험 결과
3.1.실험영상의 분석
실험에 적용된 경정맥 요로조영 검사의 압박 그룹과 압박 을 하지 않은 그룹의 연령대는 10대에서 90대까지 분포되어 있으며, N on C ompression i mage 에서는 5 0대가 11명, Compression image 에서는 40대, 50대, 70대에서 각 7명 으로 가장 많이 분포되었다. 전체적으로 50대에서 26.7% 로 가장 높은 분포를 보였다(Figure 5). 성별분포로는 Non Compression image 에서 Female 43%, Male 57%, Compression image 에서 Female 37%, Male 63% 이며, 전체적으로 Female 40%, Male 60% 로 Male 의 비율이 상 대적으로 높았다(Figure 6).
실험표본의 Non Compression 과 Compression 영상에 대한 조영제 주행 위치를 분석한 결과 78.3%, 71.7% 에서 RP 의 위치에서 보였으며, 15%, 18.3% 는 PL 의 영역에, 3.3% 는 Compression 유무에 관계없이 IL 의 위치에 나타났 다. 오른쪽 요로조영 영상과 왼쪽의 요로조영 영상을 구분하 여 비교한 결과 오른쪽에서는 RP, IL 영역에서, 왼쪽에서는 RP, PL 영역에서 Non Compression 했을 때 상대적으로 조 영제가 더 주행한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그 차이는 1~2(1.7~3.3%) 례 정도로 비교적 낮은 차이를 보였다. 또한 조영제가 상대적으로 많이 진행된 IL 영역에서 오른쪽은 Non Compression 했을 때, 왼쪽은 Compression 했을 때 2 례의 조영제가 각각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본 실험에서 Compression 유무가 조영제의 주행 위치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음을 보여주었다. 또한 전체적으로 모든 영역에서 Compression 유무에 관계없이 조영제가 비슷한 주행 위치에 나타나는 양상을 그래프로 나타냈다(Figure 7)(Figure 8).
3.2.통계 분석
본 분석에 사용한 통계방법은 Non Compression 집단과 Compression 집단 간의 해부학적 위치(Anatomical Region) 의 분포차이가 유의한지를 보는 방법으로, 관측빈도가 5 미 만인 셀에 있다는 점을 감안하여 피셔의 정확 검정(Fisher’s Exact Test)을 실시하였다. 오른쪽 집단에서의 조영제 주행 위치 분포차이를 검정한 결과 유의도가 .580, 왼쪽 집단 .711로 나타나 오른쪽, 왼쪽 모두 통계적 유의한 차이가 없 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오른쪽, 왼쪽 두 집단 모두 를 대상으로 한 분석에서도 유의도는 .960으로 나타나 유의 한 차이가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실험표본 집단 에서 Non Compression 과 Compression 영상의 오른쪽, 왼 쪽, 양쪽에 대한 동일한 구역을 각각 비교했을 때 조영제 위 치는 차이가 없다”라는 가설은 모두 채택되었다(Table 2).
IV.고 찰
현재 경정맥 요로조영 검사는 전산화 단층 촬영(CT), 초 음파(USG) 검사로 대체 되는 경우도 많지만 체외충격파 쇄 석술(ESWL)을 시술하기 전에 꼭 필요한 검사법이다. 본 연 구에서는 요로결석 환자의 경정맥 요로조영 5 분 검사를 대 상으로 하였으며, 조영제 평가가 용이하지 않은 수신증 (Hydroneprosis) 영상은 제외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조영 제의 종류 및 검사방법은 동일한 일 병원에서 실시한 영상 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급격한 옆구리 통증 등으로 내원한 요로결석 환자에게 경정맥 요로조영 검사 시 복부 압박에 의한 검사의 필요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현 재 경정맥 요로조영 검사 시, 엉덩뼈 능선(Iliac crest) 상단 에 Compression 유무를 일 지역의 병상수를 기준으로 조사 한 바에 의하면(Table 3), 동일지역 내에서도 두 가지 방법 을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이 검사 에서 복부의 압박은 심한 통증을 유발하는 환자에게 또 다 른 고통과 심리적 불안을 유발 할 수 있다. 하본철 등은 복 부에 압박없이, 조영제 양을 늘려 Trendelenburg position 으로 검사하는 방법도 제시하였지만8), 본 연구에서는 동일 한 조영제 양에 의한 수평적 자세와 압박 유무에 대한 주행 위치를 비교 평가하였다.
연구에서 무작위 선택된 60례의 연령별 빈도는 50대에서 26.7%로 가장 높고, 10대와 90대에서도 각 1례(1.7%)가 포 함되었다. 30년 전 발표된 정영선의 연구논문에서 요로결석 의 연령대별 분포와 성별비교9)를 보면 31세에서 60세까지 68.1%, 71세 이상 1.2% 으로 최고와 최저 분포를 나타냈으 며, 성별 은 Male 66.4%, Female 33.5% 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31세에서 60세까지는 56.7%, 71세 이상 23.3% 으로 나타나 과거에 비해 노인층에서 높은 분포의 차이를 나 타냈다. 성별 은 Male 60%, Female 40% 으로 나타나 요로 결석이 남성에서 발생 비율이 여전히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노인층의 검사 분포가 높아진 것은 우리나라의 고령화 사회가 반영된 결과로 추측된다. 김현회는 병력이나 이학적 검사에서 요로결석이 의심되는 환자에서 조영제에 과민성이 없는 한 경정맥 요로조영 검사는 꼭 시행하여야 하는데4) 이 경우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압박 유무를 판단하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영상의 대조도(Contrast) 차이는 배제하였으며, 실험을 5 분 영상으로 제한 한 이유는 조영제의 해부학적 진행 위치를 비교하기에 좋은 시간이라 생각했기 때문이다. 요로결석 환자의 경정맥 요로조영 검사 시 압박 유무와 관계없이 다양한 요로 주행경로에서 조영제 가 나타났는데 이것을 비교하기 위해 피셔의 정확 검정 (Fisher’s Exact Test)에 의한 통계적 유의성 분석을 실시하 였다. 그러나 표본 수가 지금보다 많은 경우와 검사 시 일어 날 수 있는 다양한 변수들을 다 반영하지 못해 본 연구의 통 계적 방법은 절대적이라고 주장 할 수는 없다.
V.결 론
요로결석이 의심되는 환자에게 시행한 경정맥 요로조영 검사의 5 분 영상에서 조영제 주행 위치는 사람마다 다양하 게 나타났다. 그러나 엉덩뼈 능선 상단에 압박을 한 그룹과 압박을 하지 않고 검사한 그룹과의 조영제 주행 차이는 통 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요로결석을 확인 하기 위해 경정맥 요로조영 검사를 실시하는 경우 Non Compression 검사를 하여도 Compression을 해서 얻는 동 일한 주행 위치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요로결석으로 인 한 심한통증을 유발하는 환자에게 Non Compression 방법 을 사용함으로써 또 다른 고통과 심리적 불안감을 줄여 줄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연구에서 경정맥 요로조영 검사 의 환자비율이 남성이 더 높고, 50대에서 가장 높은 비율로 나타나 그 연관성은 30년 전 정영선의 연구9)와 유사한 결과 를 나타냈다. 그러나 70대 이상에서 검사를 받은 비율은 상 대적으로 매우 높게 나타나 본 연구에서는 고령사회가 반영 한 결과로 추측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