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2288-3509(Print)
ISSN : 2384-1168(Online)
Journal of Radiological Science and Technology Vol.38 No.3 pp.295-304
DOI : https://doi.org/10.17946/JRST.2015.38.3.14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Career Support, Career Self-Regulation, and Career Identity

In-Sook Kim1), In-Ja Lee
Industry Employment Part Myongji College The Graduate School of Vocational, Kyonggi University
1)Dep. of Radiologic Technology Dongnam Health University

* 본 연구는 동남보건대학교 연구비 지원에 의하여 수행된 것임.


교신저자: 이인자 (16328)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천천로 74번길 50(정자동) 동남보건대학교 방사선과. Tel: 031-249-6402 / ijlee@dongnam.ac.kr
July 29, 2015 August 7, 2015 September 7, 2015

Abstract

This study intended to examine the correlation of career self-regulation (plan and check-up, positive thinking, career feedback, environment formation for career) and career identity (career decision, indecisiveness, career indecision) caused by parental career support (informative, emotional, financial, and empirical) among freshmen, sophomores, and juniors in the radiotechnology department. For assessment, a survey was conducted and according to the results, there existed correlation as follows.

Regarding parental career support, emotional support is plan and check-up (r=.25, p<0.001), Career feedback (r=.54, p<0.001), and positive thinking (r=.46, p<0.001) showed high positive correlation while informative support showed correlation in all factors showing high correlation with environment formation for career (r=.22, p<0.001), plan and check-up (r=.20, p<0.001), career feedback (r=.24, p<0.001), and positive thinking (r=.26, p<0.001). Financial support career feedback (r=.33, p<0.001) and positive thinking (r=.34, p<0.001) showed somewhat higher correlation. All factors of environment formation for career (r=.18, p<0.001), plan and check-up (r=.25, p<0.001), career feedback (r=.37, p<0.001), and positive thinking (r=.30, p<0.001) showed high correlation. Informative support showed high correlation only with career decision (r=.27, p<0.001) and financial support also showed high correlation only with career decision (r=.18, p<0.001). Also, empirical support was somewhat highly correlated only with career decision (r=.23, p<0.001). Regarding school-year difference depending on parental career suppor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motional support (F=8.52, p<0.001), financial support (F=8.97, p<0.001), and empirical support (F=5.36, p<.05) while informative support was dismissed. Regarding school-year difference depending on career self-regulation,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areer feedback (F=8.48, p<0.001) and positive thinking (F=16.29, p<0.001) while environment formation for career and plan and check-up were dismissed. Regarding school-year difference depending on career identity,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areer indecision (F=4.01, p<.05) and career decision (F=11.72, p<0.001) while indecisiveness was dismissed.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parents’ active support to their child like respecting and listening to their opinion on career, provision of career related experience or information, and provision of necessary financial aid for their study or academic preparation made the students plan and exploring their career, examine accomplishment progress, have positive idea to realize their objectives. In addition, the students were able to establish the objective of their career by forming the environment that helped them realize their objectives by seeking advices and encouragement from surroundings. Meanwhile, the parents’ attitude to respect and listen to their child’s career related opinion affected their career decision and indecision. Although informative support helped the students’ career decision, financial and empirical support caused effect only to career decision.


부모진로지지와 진로자기조절, 진로정체감의 관계*
- 방사선과 학생 대상 -

김 인숙1), 이 인자
명지전문대학교 산업취업처・경기대학교대학원 직업학과
1)동남보건대학교 방사선과

초록

방사선과 1, 2, 3학년 학생들의 부모진로지지(정보적, 정서적, 경제적, 경험적)의 영향으로 진로자기조절 관계(계획 및 점검, 긍정적사고, 진로피드백, 진로환경조성), 진로정체감 관계(진로결정, 우유부단, 진로미결정)을 알아보고자 설문을 중심으로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상관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부모진로지지 중에 정서적지지는 계획 및 점검(r=.25, p<0.001), 진로피드백(r=.54, p<0.001), 긍정적사고(r=.46, p<0.001)는 높은 상관을 보였고, 정보적지지도 진로환경조성(r=.22, p<0.001), 계획 및 점검(r=.20, p<0.001), 진로피드백(r=.24, p<0.001), 긍정적사고(r=.26, p<0.001)도 모두 높은 상관을 보였다. 경제적지지는 진로피드백(r=.33, p<0.001), 긍정적사고(r=.34, p<0.001)은 다소 높은 상관을 보였다. 경험적지지는 진로환경조성(r=.18, p<0.001), 계획 및 점검(r=.25, p<0.001), 진로피드백 (r=.37, p<0.001), 긍정적사고(r=.30, p<0.001) 모두 높은 상관을 보였다. 부모진로지지 중에 정서적지지는 진로결정(r=.27, p<0.001), 경제적지지 역시 진로결정(r=.18, p<0.001), 경험적지지도 진로결정(r=.23, p<0.001)에서만 다소 높은 상관을 보였다. 부모진로지지에 따른 학년간의 차이는 정서적지지(F=8.52, p<0.001), 경제적지지(F=8.97, p<0.001), 경험적지지 (F=5.36,p<.05)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진로자기조절에 따른 학년간의 차이는 진로피드백(F=8.48, p<0.001), 긍정적사고 (F=16.29, p<0.001)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진로정체감에 따른 학년간의 차이는 진로미결정(F=4.01, p<.05), 진로결정 (F=11.72, p<0.001)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부모진로지지가 진로과업을 성장시키는 자녀나 청소년들에게 얼마나 많은 영향력을 발휘하는지에 대한 연구 결과가 나왔으며, 전문적인 후속 연구가 필요로 하며 부모님들이 자녀의 진로나 의사결정에 전적으로 참여하기보다는 지원하고 도울 수 있는 객관적인 입장으로 보살펴주는 부모의 역할이 매우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방사선과 전체 학생들은 자신이 진로결정 시 가장 영향을 준 사람은 본인의 의사를 제외하면 부모님의 영향(30.1%)이 높은 결과가 나왔으며, 또한 전공 선택 시 가장 큰 동기는 취업전망이 좋을 것 같아서가 40%로 높은 결과가 나왔다. 이러한 결과들은 고등학교에서 대학 진학 진로결정시 자신의 흥미나 적성보다는 현실적인 문제인 취업전망이 좋은 부분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진로결정을 하였다는 결과로 보여 지고 있다. 또한 정보, 정서, 경제, 경험들의 부모진로지지가 자신의 진로목표 및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자신을 조절할 수 있게 영향을 주며 또한 진로결정에 많은 영향력을 주는 것을 알 수 있으나, 현재 방사선과 학생들의 진로선택은 흥미나 적성보다는 시대에 맞춘 취업 전망이 중요한 부분이고, 또한 대부분의 부모도 미래에 자녀가 안정된 직업을 얻었으면 하는 바람을 갖고 있다. 이러한 기대로 방사선과에 입학한 학생들이 비록 적성과 흥미가 맞지 않아서 대학생활이나 전공공부 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학생들에게 잘 적응 할 수 있도록 부모진로지지 만큼이나 학생들의 학습지도나 정서지지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I.서 론

    1.부모 진로지지

    개인이 사회 속에서 다른 구성원들로부터 얻을 수 있는 모든 형태의 지원을 사회적지지라고 한다. 사람들이 타인과 의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서만 만족될 수 있는 욕구를 지 니는데. 이 욕구는 주위로부터 제공되는 사회적 지지를 통 해 만족될 수 있다고 하였다. 사회적 지지가 청소년들의 진 로발달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분야는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 는데, 그 중 사회적 지지와 진로발달관계는 개인을 둘러싸 고 있는 지지적인 상호 관계망은 개인의 진로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고 보고하였다1). 청소년기에 사회적 지원으로 가장 중요한 사람은 가족, 선생님, 친구를 생각할 수 있다. 특히 부모가 애정, 원조, 도구적 도움, 가치감 증진 등에서 가장 높은 지지를 제공하는 사람이라고 보고하였다 1). 그러므로 부모와의 상호관계 속에서 형성된 자녀들의 성 격 및 사회적 적응 능력은 개인의 진로발달에 중요한 역할 을 하는 자아발달2)과 청소년 시기의 발달 과정에서 부모의 수용과 공감, 지지는 중요한 자원이 될 수 있다3).

    본 연구에서는 진로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는 척도들로 구성된 이상희(2009)의 부모진로지지척도를 사용하고자 한다4).

    대화적 진로지지 : 개인이 진로와 관련된 문제나 고민이 있 을 때 부모님과 함께 대화를 나눔으로써 얻어지는 진로지지

    정서적 진로지지 : 부모님이 개인의 진로관련 스트레스 상황 을 잘 배려해 주고 개인의 진로의견을 존 중하고 경청하여 주는 진로지지

    경험적 진로지지 : 개인의 진로와 직업선택을 위하여 부모님 이 자신이나 자신의 직장동료를 통한 진 로 경험을 제공하여 주는 진로지지

    정보적 진로지지 : 개인이 진로 및 직업을 잘 선택할 수 있도 록 부모님이 제공하여 주는 여러가지 정 보 및 자료를 통한 진로지지

    경제적 진로지지 : 부모님이 진로와 관련된 여러가지 학업이 나 준비과정에 필요한 물질적 도움을 제 공하여 주는 진로지지

    등 5개의 하위요인으로 구성되어 있다.

    2.진로자기조절

    더 좋은 결과를 얻기 위해서 충동과 반응을 통제할 수 있 는 능력이 자기조절이라고 할 수 있다. 자기조절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지향되어지는 과정으로 순환적으로 적응하 려고 하며, 계획되어진 자기 발생적 사고, 느낌, 행동을 의 미한다5). 개인이 만족스러운 진로를 추구하기 위해서는 자 신에 대한 충분한 이해를 바탕으로 자신이 하고 싶은 일을 구체화하여 직업을 선택하며, 새로운 직업기회와 개인목표 를 계속적으로 조율하는 과정을 수행해야한다6). 따라서 진 로발달 과업을 효과적으로 이행하기 위해서는 자신이 세운 진로목표를 성취할 때까지 여러 가지 발생되는 위험과 장애 들을 극복하고, 진로목표를 유지하도록 자신의 생각 감정 행동을 조절하는 능력이 요구된다. 대학생들의 진로발달과 정에서 발생하는 어려움을 스스로 극복하고 진로목표에 도 달할 때까지 목표를 유지하도록 자신의 생각 감정 행동을 조정하는 능력을 진로자기조절이라고 정의하였다5).

    본 연구에서는 김민정의 진로자기조절척도를 사용하고자 한다5).

    계획 및 점검 : 자신과 일에 대한 탐색을 계획하고, 달성 과정을 점검함

    긍정적진로사고 : 진로에 대해 생각하며, 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는 긍정적 사고를 함

    진로피드백 :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준비과정에 대해서 주변사람들로부터 조언과 격려를 구함

    진로환경조성 : 진로목표를 자주 상기하여, 목표를 성취 할 수 있도록 주변 환경을 조성함

    진로몰입의지 : 진로활동에 집중하고 수행하려고 노력함

    등 5개의 하위요인으로 구성되어 있다.

    3.진로정체감

    진로정체감을 확립하는 것은 청년기의 주요발달과업이 며, 진로정체감은 직업 영역과 관련된 자기정체감으로서, 직업에 대한 자신의 목표, 흥미, 능력에 대한 명확하고 안정 된 상(picture)을 갖추고 있는가를 의미한다. 진로정체감은 Marcia의 자기정체감 이론을 직업영역에 한정하여 적용한 개념으로, 진로발달이론에서는 진로정체감 형성을 진로발 달 과정에 가장 중요한 요인이라고 강조하였다7).

    진로발달을 진로정체감을 형성해 가는 과정으로 보고 개 인이 자기 자신의 제반 특성을 정확히 이해하고 자아를 실현 할 수 있는 일이 무엇인가에 대한 인식 또는 생각이라고 하 였다. 진로정체감은 자신의 직업에 대한 일관된 개인의 가치 체계라고 볼 수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는 대학입시의 특수한 환경으로 인해, 대학생들이 자기 자신에 대한 이해와 직업세 계에 대한 탐색 과정 등을 통하여 자신의 진로결정을 위한 노력이나 진로 정체감 형성에 있어서 혼란과 결정위기를 경 험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실제의 대학에서의 상담장면에서 진로문제가 가장 중요한 문제로 대두하고 있다8).

    본 연구에서는 진로정체감 수준을 진로결정, 우유부단, 진로무결정 등9) 3가지 범주로 구분하여 진로정체감을 알아 보고자 한다. 또한 방사선과 학생의 부모진로지지와 진로자 기조절, 진로정체감에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는가를 알아보 고 그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II.연구 방법

    1.도구

    설문지 구성으로 부모진로지지가 진로자기조절과 진로정 체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개인별특성, 부모진로 지지, 진로자기조절, 진로정체감 등을 측정하는 문항을 만 들어 자기보고식 오간척도 문항으로 설문지를 구성하였다.

    2.방법

    2015년 방사선과 1, 2, 3학년 총 361명 중 설문에 응한 322명(남: 172명(53.4%), 여: 150명(46.6%)) 부모진로지지 20문항, 진로자기조절 25문항, 진로정체감 15문항으로 설문 지를 구성하였으며, 자신들의 진로자기조절 정도를 확인하여 수업이나 성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학습지도 및 학생 지도 차원에 도움을 주고자 6월에 2주간 설문조사를 하였다.

    III.연구결과

    Table 1은 부모진로지지와 학년 간 차이를 분석한 결과이 다. 정서적지지(F=8.52, p<.001), 경제적지지(F=8.97, p< .001), 경험적지지(F=5.36, p<.05)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 났고 정보적지지는 F=2.36으로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 났다.

    Table 2는 진로자기조절과 학년간의 차이분석 결과이다. 진로피드백(F=8.48, p<.001), 긍정적사고(F=16.29, p<.001) 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진로환경조성(F= 2.26)과 계획 및 점검(F=1.50)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Table 3은 진로정체감에 따른 학년간의 차이분석 결과이 다. 진로미결정(F=4.01, p<.05), 진로결정(F=11.72, p<.001) 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우유부단(F=0.60)은 유의한 차이 가 없었다.

    [가설 I]은 ‘부모 진로 지지와 진로 자기 조절은 상관관 계가 있을 것이다’라는 가설을 설정하였고, 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부모 진로 지지는 정서적지지, 정보적지지, 경제적 지지, 경험적지지 등의 4개로 설정하였으며, 진로 자기 조 절은 진로 환경 조성, 계획 및 점검, 진로피드백, 긍정적 사 고 4개 변인으로 설정하여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Table 4는 부모진로지지와 진로자기조절의 상관관계를 분 석한 것이다. 먼저 정서적지지는 진로자기조절 검사 모든 요 인에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계획 및 점검(r=.25, p<.001), 진로피드백(r=.54, p<.001), 긍정적 사고(r=.46, p<.001), 는 높은 상관을 보였고, 진로환경조성(r=.11, p<.05)은 다 소 낮은 상관을 보였다. 정보적지지도 모든 요인에서 상관 관계가 나타났다. 진로환경조성(r=.22, p<.001), 계획 및 점검(r=.20, p<.001), 진로피드백(r=.24, p<.001), 긍정적 사고(r=.26, p<.001)로 모두 높은 상관을 보였다. 경제적지지 는 진로환경조성을 제외한 3개의 요인에서 상관관계가 나타 났다. 계획 및 점검(r=.13, p<.05)은 다소 낮은 상관을 보였으 며, 진로피드백(r=.33, p<.001), 긍정적사고(r=.34, p<.001) 는 다소 높은 상관을 보였다. 경험적지지 역시 진로자기조 절 검사의 모든 요인에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진로환경조 성(r=.18, p<.001), 계획 및 점검(r=.25, p<.001), 진로피드 백(r=.37, p<.001), 긍정적사고(r=.30, p<.001)로 모두 높 은 상관을 보였다.

    분석결과 방사선과 학생들의 부모님이 자녀의 진로의견 을 존중하고 경청하며, 진로 경험이나 정보를 제공해 주고 학업이나 준비과정에 필요한 물질적 도움 등의 적극적인 지 원이 자녀들에게 자신과 일에 대한 탐색을 계획하고, 달성 과정을 점검하며, 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는 긍정적 사고를 갖게 하며, 학생들 자신이 주변사람들로부터 조언과 격려를 구함으로서 목표를 성취할 수 있도록 주변 환경을 조성함으 로써 자신의 진로에 대한 목표를 확립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가설 II]은 ‘부모 진로 지지와 진로정체감은 상관관계가 있을 것이다’라는 가설을 설정하였고, 이를 분석하기 위하 여 부모 진로 지지는 정서적지지, 정보적지지, 경제적지지, 경험적지지 등의 4개로 설정하였으며, 진로정체감은 진로 미결정, 진로결정, 우유부단 3개 변인으로 설정하여 상관분 석을 실시하였다. Table 5는 그 결과이다.

    Table 5에서 먼저 정서적지지는 진로미결정과 진로결정 에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진로미결정(r=-.17, p<.01), 진 로결정(r=.48, p<.001)은 다소 높은 상관을 보였고, 우유부 단에서는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정보적지지는 진로 미결정과 우유부단에서는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진로결정(r=.27, p<.001)에서만 높은 상관을 보였다. 경제 적지지 역시 진로결정(r=.18, p<.001)에서만 높은 상관을 보였다. 경험적지지도 진로미결정과 우유부단에서는 상관 관계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진로결정(r=.23, p<.001)에서 만 다소 높은 상관을 보였으며, 진로미결정과 우유부단에서 는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 부모님이 자녀의 진로의견을 존중하고 경청하 는 지원이 진로결정과 미결정에 영향을 미치며, 정보의 지 원은 진로결정에 도움이 되었으며 경제적이나 경험적 지지 는 진로결정에만 영향을 미쳤다.

    방사선과 학생들의 전공 선택의 동기와 영향을 많이 끼친 사람에 대한 결과는 Table 6에 나타내었다.

    Table 6에서와 같이 방사선과 1, 2, 3학년의 전공 선택에 서 가장 큰 동기는 취업전망이 좋을 것 같아서 40.0%, 적성 과 흥미가 맞을 것 같아서 23.6%, 주변의 권유 22.0%, 점수 에 맞추어 14.3%, 어릴 적부터 장래희망 0.1% 로 전공 선택 의 가장 큰 동기는 취업전망으로 나타났다.

    전공 선택 시 가장 영향을 끼친 사람은 본인의사가 41.6%, 부모의 영향이 30.1%, 담임교사 12.7%, 친구 8.4%, 형제 7.2%,로 본인의 의사를 떠나서 가장 많은 영향을 받는 부분 은 부모님의 영향이 매우 높게 나왔으며, 자신의 의사 (41.6%) 결정보다는 부모나 주의사람들의 영향(58.4%)으로 전공을 선택하는 경향으로 나타났다.

    IV.고 찰

    우리나라 교육은 대학졸업을 필수적인 것으로 생각함으 로, 인생이나 직업에서 성공을 하기 위해서는 그 조건 중에 대학을 졸업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사회현상으로 진 로선택이 매우 중요한 과제이나, 청소년이나 청년들은 자신 의 진로를 스스로 선택하고 책임지기에는 매우 부족한 측면 들이 많고 일정 수준은 의지할 수밖에 없다10). 그러한 이유 로 진로결정에 있어서 타인의 영향력을 전혀 받지 않는 것 은 불가능하다고 볼 수 있으며, 특히 부모는 청소년의 진로 발달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부모와 친척(71%), 친 구나 선배(21.0%), 교사(3.8%)등의 순서이며, 청소년들의 진 로결정에서 부모는 가장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11). 특히 부모는 청소년의 진로발달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12), 김수리는 부모가 진로관련 지지를 제공 하여 유능감을 높여줌으로써 진로준비를 수행하게 하고, 진 로문제를 해결하는데 기능적으로 사고할 수 있도록 도움으 로써 청소년의 진로성숙이 발달할 수 있다고 하였다13).

    또한 우리나라 부모들은 자녀들의 높은 성취가 부모의 인 생의 자랑스러운 성공 경험으로 인식할 가능성이 있고, 대 부분의 부모는 미래에 자녀가 안정된 직업, 그리고 현 부모 의 사회경제적 지위보다 높은 지위를 얻었으면 하는 바람을 갖고 있다14). 부모의 기대는 자녀의 성취동기에 영향을 주 는 변인으로, 높은 성취동기의 소유자들은 부모의 보다 높 은 기대속에서 성장하였고, 그 기대가 자녀의 성취동기를 높여 주었다는 결과들15)을 알 수 있다. 반면에 부모의 비현 실적인 기대와 압박은 자녀들에게 목적을 달성하는데 장애 로 작용할 수 있다. 이러한 영향으로 후기 청소년기의 중심 적인 과업 중 하나가 독립임에도 불구하고, 성인에 대한 의 존성이 존재하므로, 청소년의 정신건강은 의존하는 대상의 지지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16). Holanhan의 연구결과에도 부모지지 정도가 높은 청소년들이 부모지지 수준이 낮은 청 소년들보다 학교의 적응력이 높고, 스트레스 수준이 낮다고 밝혔다17).

    이러한 선행연구들을 보면 즉, 지지적인 부모들이 자녀들 과 좋은 관계를 형성하고 자주 대화를 나눔으로써 위협에 대처하는 방법을 터득하게 해주며, 자녀로 하여금 자신이 돌봄과 사랑을 받고 있다고 믿게 하고 긍지를 가지도록 하 여 의사소통과 책임을 갖는 조직망 속의 일원임을 믿게 하 는 정보로 청소년들의 자기존중감과 문제해결에 도움을 주 고 문제행동의 유발을 막는다18).

    진로와 자기조절은 학급차원의 학습과 학업성취에 있어 서 중요한 측면이다19). 자기조절은 목표의 달성을 위해 지향 되어지는 과정으로, 학생들이 어떻게 인지, 행동, 정서를 지 속하는지에 대한 과정을 의미 한다20). Schunk는 자기조절 은 수업에 참석하고 집중하기, 기억된 정보의 조직화, 부호 화, 시연, 생산적인 학습 환경 조성, 자원을 효과적으로 활 용하기, 개인의 능력, 학습의 중요성, 학습에 영향을 주는 요소들과 활동의 예상된 결과, 개인의 노력에 대한 만족과 자신감 경험하기 등이라 설명하였다21).

    진로는 개인이 일생동안 수행하는 역할의 총체로 현실 속 에서 목표를 구체화하고 만들어 간다. 자신의 일과 관련된 자기조절의 연구는 산업 및 조직분야에서 진로/경력관리라 는 개념을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Zella는 직업적응모델 을 기초로 진로자기관리의 이론적 구성개념을 확인하였다 22). 그러므로 진로자기조절은 진로목표가 달성 될 때까지 목 표를 유지하도록 하는 생각, 정서, 행동을 조절하는 의지적 능력이다5). Chuang은 미국 대학에서 취업을 한 박사졸업생 들이 직업을 탐색하는 과정에서의 자기조절을 집단토의를 이용해서 연구하였다23). 그 결과, 자기조절방법은 목표설정 하기, 정보구하기, 사회적 지지자 구하기, 자기평가, 이력서 와 경력을 컨설팅하고 조직화하기, 직업을 구하는 과정에서 얻은 자료를 기록하고 모니터하기, 리허설하기, 심리적으로 안정을 유지하기로 확인되었다. 또한 Kreber과 동료들은 자 기조절에 대해 대학 강사들을 대상으로 살펴본 결과, 동료들 에게 강의에 대한 자문을 구하고, 학생들에게 적극적인 피드 백을 요청하며, 워크숍이나 협회에 참석하면서 최신의 경향 이나 대안적인 교수법을 스스로 실험을 해 보기도 하는 적극 적인 활동을 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24). 그 외에 미국청소년 들을 대상으로 자기조절학습전략의 내용이 진로성공과 상당 히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25).

    진로정체감은 청소년 진로발달, 진로성숙도, 진로의사결정 등 밀접하게 관련 되어 있다26). 또한 진로미결정 수준이 높은 집단은 정체감이 낮고 대인관계에서도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혼동수준이 높고 직업적 태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27).

    또한 진로정체감은 부모진로지지와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다. 이은경은 진로결정과 선택과정에서 부모나 가족의 영 향을 배제할 수 없는 한국문화는 부모 혹은 가족 구성원들 간의 관계와 상호작용이 자신에 대한 확신감, 진로결정에서 자신감과 독립심, 장기적인 계획을 설정하는데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하였다28). 이광자는 부모지지가 진로결정 자기효 능감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보고하였다29). 개인의 행동은 그 사람의 성격적 특성과 환경간의 상호작용으로 결정되므 로, 개인적 정체감과 환경적 정체감을 바로 인식할 때 어떤 환경보다 안정적이고 만족할만한 진로를 누릴 수 있을 것인 지 예언할 수 있다. 따라서 개인과 환경간의 정체감이 발달 되면 목표가 안정되고 흥미와 능력도 더 발달할 수 있다.

    최인화는 진로정체감이 높을수록 진로결정수준이 높은 것으로 보고하였으며30), 홍혜경은 진로결정 수준이 낮을수 록 진로정체감이 확고하지 못한 것으로 보고되었다31).

    이와 같이 진로정체감의 선행연구들을 보면 청소년의 가정 과 학교를 포함한 전반적인 생활적응의 중요함을 알 수 있으며 공통적으로 진로정체감은 개인의 진로발달, 진로성숙도, 진로 의사결정과 밀접하게 관련이 있다고 주장한다26,30-32).

    선행연구들을 통해서 청소년의 진로발달에 부모는 가장 큰 영향을 미치며 진로정체감, 자기효능감등 부모의 영향으 로 진로성숙이 발달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방사선 학과 학생들은 진로 선택 시 취업을 전제로, 부모의 기대로 등으로 진로를 선택하여 진로갈등을 겪을 수 있음을 예측할 수 있으므로, 진로성숙에 도움이 되는 부모의 지지가 전적 으로 필요함을 알수 있다. 그런 반면 부모는 대학에 진학한 자녀들에 대한 부모의 의무를 다 했다는 생각으로 자녀와의 대화나 지지 등에 소홀함을 갖게 될 수도 있다. 그러므로 방 사선학과 학생 교육에 효율적인 방법으로는 학생들의 학습 지도와 정서적지지도 필요하지만 부모의 지지가 전적으로 필요하며, 또한 직접적인 부모와의 상호연락도 효율적인 방 법이라 생각한다.

    V.결론 및 제언

    방사선과 1, 2, 3학년 학생들의 부모진로지지(정보적, 정 서적, 경제적, 경험적)의 영향으로 진로자기조절 관계(계획 및 점검, 긍정적사고, 진로피드백, 진로환경조성), 진로정 체감 관계(진로결정, 우유부단, 진로미결정)을 알아보고자 설문을 중심으로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상관관계가 있음 을 알 수 있었다.

    1. 부모진로지지 중에 정서적지지는 진로자기조절 검사 모든 요인에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계획 및 점검(r=.25, p<.001), 진로피드백(r=.54, p<.001), 긍정적사고(r=. 46, p<.001),는 높은 상관을 보였고, 정보적지지도 모든 요인에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진로환경조성(r=.22, p<.001), 계획 및 점검(r=.20, p<.001), 진로피드백 (r=.24, p<.001), 긍정적사고(r=.26, p<.001)로 모두 높 은 상관을 보였다. 경제적지지는 진로환경조성을 제외한 3개의 요인에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계획 및 점검 (r=.13, p<.05)은 다소 낮은 상관을 보였으며, 진로피드백 (r=.33, p<.001), 긍정적사고(r=.34, p<.001)은 다소 높 은 상관을 보였다. 경험적지지 역시 진로자기조절 검사 모든 요인에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진로환경조성(r= .18, p<.001), 계획 및 점검(r=.25, p<.001), 진로피드백 (r=.37, p<.001), 긍정적사고(r=.30, p<.001)로 모두 높 은 상관을 보였다.

    2. 부모진로지지 중에 정서적지지는 진로미결정과 진로결정 에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진로미결정(r=-.17, p<.01), 진로결정(r=.48, p<.001)은 다소 높은 상관을 보였고, 우유부단에서는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정보적지 지는 진로결정(r=.27, p<.001)에서만 높은 상관을 보였다. 경제적지지 역시 진로결정(r=.18, p<.001)에서만 높은 상 관을 보였다. 경험적지지도 진로결정(r=.23, p<.001)에서 만 다소 높은 상관을 보였다.

    3. 부모진로지지에 따른 학년간의 차이는 정서적지지(F= 8.52, p<.001), 경제적지지(F=8.97, p<.001), 경험적지 지(F=5.36, p<.05)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정보적지 지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4. 진로자기조절에 따른 학년간의 차이는 진로피드백(F= 8.48, p<.001), 긍정적사고(F=16.29, p<.001)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진로환경조성, 계획 및 점검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5. 진로정체감에 따른 학년간의 차이는 진로미결정(F=4.01, p<.05), 진로결정(F=11.72, p<.001)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우유부단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부모진로지지가 진로과업을 성장시키는 자녀나 청소년들 에게 얼마나 많은 영향력을 발휘하는지에 대한 연구 결과가 나왔으며, 전문적인 후속 연구가 필요로 하며 부모님들이 자녀의 진로나 의사결정에 전적으로 참여하기보다는 지원 하고 도울 수 있는 객관적인 입장으로 보살펴주는 부모의 역할이 매우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방사선과 전체 학생들은 자신이 진로결정 시 가장 영향을 준 사람은 본인 의 의사를 제외하면 부모님의 영향(30.1%)이 높은 결과가 나왔으며, 또한 전공 선택 시 가장 큰 동기는 취업전망이 좋 을 것 같아서가 40%로 높은 결과가 나왔다. 이러한 결과들 은 고등학교에서 대학 진학 진로결정시 자신의 흥미나 적성 보다는 현실적인 문제인 취업전망이 좋은 부분에 많은 관심 을 가지고 진로결정을 하였다는 결과가 보여 지고 있다. 또 한 정보, 정서, 경제, 경험들의 부모진로지지가 자신의 진로 목표 및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자신을 조절할 수 있게 영향 을 주며 또한 진로결정에 많은 영향력을 주는 것을 알 수 있 으나, 현재 방사선과 학생들의 진로선택은 흥미나 적성보다 는 시대에 맞춘 취업 전망이 중요한 부분이고, 또한 대부분 의 부모도 미래에 자녀가 안정된 직업을 얻었으면 하는 바 람을 갖고 있다. 이러한 기대로 방사선과에 입학한 학생들 이 비록 적성과 흥미가 맞지 않아서 대학생활이나 전공공부 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학생들에게 잘 적응 할 수 있도 록 부모진로지지 만큼이나 학생들의 학습지도나 정서지지 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Figure

    Table

    Analysis difference of grade between and parental career support

    *p<.05
    ***p<.001
    주: 1. 1학년(a), 2학년(b), 3학년(c),
    2. 1. 전혀 그렇지 않다, 2. 그렇지 않다, 3. 보통, 4. 그렇다, 5. 매우 그렇다.

    Analysis difference of grade between and Career self -regulation

    ***p<.001
    주: 1. 1학년(a), 2학년(b), 3학년(c),
    2. 1. 전혀 그렇지 않다, 2. 그렇지 않다, 3. 보통, 4. 그렇다, 5. 매우 그렇다.

    Analysis difference of grade between and career identity

    *p<.05
    ***p<.001
    주: 1. 1학년(a), 2학년(b), 3학년(c),
    2. 1. 전혀 그렇지 않다, 2. 그렇지 않다, 3. 보통, 4. 그렇다, 5. 매우 그렇다.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Career Support and Career Self-Regulation

    *p<.05
    ***p<.001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Career Support and career identity

    **p<.01
    ***p<.001

    Motivation and affect in major choice

    Reference

    1. Burk RJ , Bristol JM , Rothstein MG (1995) The role of interpersonal networks in woman's and men's career development process ,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Vol.38; pp.39-50
    2. Gottfredson GD (1981) Circumscription and compromise : A development theory of ocuupationl aspiration ,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Vol.28; pp.545-579
    3. Avision WR , McAlpine DD (1992) Gender differences in symptoms of depressiong among adolescents ,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Vol.33; pp.77-96
    4. Lee SangHee (2009) Parental Career support of College students , Scale Exploitation Research, Vol.10 (3) ; pp.1539-1553
    5. Kim MinJung (2014) Relationship between Career Self-Regulation, Career decision self efficacy, Rational decision making and Career search behavior , doctor's degree of Graduate School of Sookmyung woman's University,
    6. Osipow SH (1994) The career Decision Scale : How good does it have to be? ,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Vol.2 (1) ; pp.15-18
    7. Marcia JE (1980)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ego identity states ,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3 (5) ; pp.551-558
    8. Lee GoungSoun (2009)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Career decision self efficacy and Career identity of College students , master's dissertation of Graduate School of Sookmyung woman's University,
    9. Kim MinJung (2011) Effect on youth Career identity according to Participation of parents , master's dissertation of Graduate School Kyonggi University,
    10. Lee ChangSun (2012) Effect on youth Career identity according to life adaptation and parents support , master's dissertation of Graduate School of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11. Lee JaeChang (2002) Psychology for human understanding , Munumsa,
    12. Sun HeaYung (2008) Method of parents Participation in the youth Career decision , doctor's degree of Graduate School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13. Kim SuLi (2004) Effect on youth’s career development according to Participation of parents, Career decision self efficacy and dysfunctional career thinking , doctor's degree of Graduate School of Hongik,
    14. An InJung , Lee SangGum , Jung SeWha (1974) Korea parents wish forideal children Research , Korea Culture institute dissertation, Vol.20; pp. 253-268
    15. Jung WunSik (2001) The motive of hauman , Kyoyoobookr,
    16. Compas BE (1987) Coping with stress during childhood and adolescence , Psychological Bulletin, Vol.101; pp.393-403
    17. Holanhan CJ , Valentier DP , Moos RH (1995) Parental support, coping strategies, and psychological adjustment : An integrative model with late adokescents ,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ts, Vol.24; pp.633-648
    18. Cobb S (1976) Social support as a mediator of life stess , Psychosomatic Medicine, Vol.38; pp.300-314
    19. Pintric PR , DeGroct EV (1990) Motivation and self-regulated learning components of classroom academic performance ,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Vol.82 (1) ; pp.41-50
    20. Zimmerman BJ (1990) Self-regulated learning and academic achievement , Educational Psychology, Vol.25; pp.3-17
    21. Zimmerman BJ , Schunk DH (1989) Self-Regulated Learning and academic achievement :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Springer, pp.83-110
    22. Zella K (2004) Career self management : Its nature, causes and consequences ,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Vol.65 (1) ; pp.112-133
    23. Chuang Wang , Lo Yayu , Yaoying Xu , Yan Wang , Erik Porfeli (2007) Coustructing the search for a job in academia from the perspective of self 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and social cognitive career theory ,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Vol.70 (3) ; pp.574-589
    24. Kreber C , Castleden H , Erfani N , Wright T (2005) Self regulated learning about university teaching : an exploratory study , Teaching in Higher Education, Vol.10 (1) ; pp.75-97
    25. Turner SL , Trotter MJ , Lapan RT , Czajka KA , Yang P , Brissett AEA (2006) Vocational skills and outcomes among Native Ameriacn adolescents: a test of the integrative contextural model of career development , The Career Development Quarterly, Vol.54 (3) ; pp.216-226
    26. Harren VH (1979) A model of decision making for college student ,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Vol.14; pp.119-133
    27. Yu HeaSeang (2014) Korea College students Career identity level , doctor's degree of Graduate School of Yonsei university,
    28. Lee EunYoung (2001) Effect on career development according to self efficacy , doctor's degree of Graduate School of Ewha woman's university,
    29. Lee GungJ (2004)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ion of parents and highschool student's career development , doctor's degree of Graduate School of Sungkyunkwan university,
    30. Choi InWha (1998) Relationship among highschool external sense of control, career identity and career decision , master's dissertation of Graduate School of Hongik,
    31. Hong Heagyung (1998) College student's Career decision type according to career undecided model , master's dissertation of Graduate School of Ewha woman's university,
    32. Savickas ML (1985) Identity in vocational development ,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Vol.27; pp.329-3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