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2288-3509(Print)
ISSN : 2384-1168(Online)
Journal of Radiological Science and Technology Vol.42 No.5 pp.379-385
DOI : https://doi.org/10.17946/JRST.2019.42.5.379

A Study on Retrospective of External Radiation Exposure Dose by Optically Stimulated Luminescence of Smart Chip Card

Sang-Won Park1),3), Se-Jong Yoo2)
1)Department of Radiology, Chuncheon Sacred Heart Hospital, Hallym University Medical Center
2)Department of Radiological Technology, Daejeon Health Institute of Technology
3)Department of Radiological & Medico-Oncological Sciences,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Corresponding author: Se-Jong Yoo, Department of Radiology Technology, Daejeon Health Institute of Technology, 21, Chungjeong-ro, Dong-gu, Daejeon, Republic of Korea, 34504 / Tel: +82-42-670-9173 / E-mail: yysj016@hanmail.net
10/10/2019 21/10/2019 24/10/2019

Abstract


Radiation is used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cancer therapy, research of industrial and drugs. However, in case of radiation accidents such as terrorism, collapsing nuclear plant by natural disasters like Fukushima in 2011, very high radiation does expose to human and could lead to death. For this reason, many people are concerning about radiation exposures. Therefore, assessment and research of retrospective radiation dose to human by various path is an necessary task to be continuously developed. Radiation exposure for workers in radiation fields can be generally measured using a personal exposure dosimeter such as TLD, OSLD. However, general people can’t be measured radiation doses when they are exposed to radiation. And even if radiation fields workers, when they do not in possession personal dosimeter, they also can’t be measured exposure dose immediately. In this study, we conduct retrospective research on reconstruction of dose after exposure by using smart chip card of personal items through Optically Stimulated Luminescence (OSL). The OSL signal of smart chip card shows linear response from 0.06 Gy to 15 Gy and results of fading rate 45 %, 48% for 24 and 48 hours due to the natural emission of radiation in sample, respectively. The minimum detectable limit (MDD) was 0.38 mGy. This values are expected to use as correction values for reconstruction of exposure dose.



스마트칩 카드을 이용한 광 자극 발광 특성 연구

박 상원1),3), 유 세종2)
1)한림대학교 의료원 춘천성심병원 영상의학과
2)대전보건대학교 방사선과
3)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방사성종양의과학과

초록


    Korea Foundation of Nuclear Safety

    Ⅰ. 서 론

    방사선은 의료, 산업, 연구, 원자력 시설 등에서 환자의 진단 및 치료, 식품 조사, 방사성 의약품 개발, 계측 장비의 교정 등 다양한 목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다양한 유용성에 도 불구하고, 방사선은 예기치 못한 사고 혹은 악의적인 목 적의 방사선 테러 발생 시 생명을 위협할 정도의 대용량 피 폭을 발생시킬 수 있다[1]. 또한, 자외선과 같은 자연방사 선, 의료방사선 등 소량의 방사선 피폭의 인체 노출로 인하 여 유전자 변이, 변성 유전자 생성 등의 방사선 만성질환 (chronic disease)의 결과를 유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 유로 방사선의 위험성에 대한 사회적 우려는 커지고 있다 (Table 1, 2)[2].

    다양한 환경에서 방사선 피폭에 빈번하게 노출되어 있음 에도 불구하고 개인피폭선량계(TLD, OSLD)를 이용하여 선 량을 측정할 수 있는 방사선 작업종사자들을 제외한 일반인 들의 즉각적이고 주기적인 피폭선량 측정은 어렵다[3]. 신 속하게 이뤄지는 개인 피폭선량 측정은 방사선 피폭 환자들 의 치료방법 및 약물 투여의 즉각적인 결정을 도와 치료 효 과를 높이고 사고 후 대책 마련에도 기여할 수 있으며, 사후 대비 대책 대비에도 효과적으로 일조할 수 있다[4]. 이러한 이유로 최근 국내·외로 방사선 피폭에 의한 인체 흡수선량 측정 및 평가, 피폭 방사선량 복원의 중요도가 높아졌으며, 이에 관한 연구 또한 증가하고 있다.

    방사선량 측정 및 복원 연구에 사용될 수 있는 물질로는 결정구조로 이뤄져 고유의 전자 띠(band)를 가지고 있는 이 산화규소(SiO2)가 이용될 수 있다. 외부 방사선 자극으로 인 하여 내부 전자의 트랩(Trap) 간 이동 후 외부 자극 요인 (열 혹은 빛)에 따라 열 자극 발광(Thermo-luminescence, TL) 및 광 자극 발광(Optical Stimulated Luminescence, OSL)이라 부른다[5]. 이 때 방출되는 빛의 양을 측정함으로 써 조사된 방사선량을 측정 및 평가할 수 있다(Fig. 1)[6].

    본 연구에서는 일상생활에서 자주 사용하는 물품 중 SiO2 를 주로 함유한 신용카드, 신분증, 사원증 등의 내부에 존재 하는 스마트 칩 카드의 광 자극 발광(OSL) 특성을 일어나는 시료 후면의 자외선 경화 에폭시 레진(UV epoxy resin)을 물리적으로 추출하여 피폭방사선량 측정 및 복원 연구를 진 행하였다.

    Ⅱ. 대상 및 방법

    1. 시료 및 실험 준비

    실험에 사용된 스마트 칩 카드는 신용카드, 전자여권, 신 분증 등에 실제 사용되는 시료로써, LG전자에서 생산된 스 마트 칩 카드를 사용하였다(Fig. 2). 칩 카드 전면부의 도 금된 필름은 물질 구조상 특정한 물성을 가지고 있지 않아 방사선 조사 후 광 자극 발광(OSL) 기법을 적용하더라도 내부 전자의 활성화 및 발광현상이 일어나지 방사선 측정이 어렵다

    이에 광 자극 발광(OSL) 특성이 활발하게 일어나는 시료 후면의 자외선 경화 에폭시 레진(UV epoxy resin)을 물리 적으로 추출하여 실험하였다.

    2. 실험 방법

    방사선 조사 후 광 자극 발광(OSL)기법을 통한 피폭선량 측정 및 복원 진행을 위해 시료 수집 및 실험의 전 과정에서 빛 노출 최소화가 필수적이다. 이에 모든 실험 과정은 암실 에서 진행하였다[7]. 다양한 조사선량 구간에서의 방사선 반응도 관찰을 위해 총 9개의 조사 구간(0.06, 0.12, 0.3, 0.7, 1, 2, 5, 10, 15Gy)을 나누어 방사선 조사를 시행하였 다. 반복 측정에 따른 감도 보정을 위해 각 조사 구간 사이 마다 표준 선량 50 mGy를 조사하여 각 선량 구간마다 나타 나는 방사선 반응도를 표준화하였다[8]. 시료 내에서 일어 날 수 있는 방사선 자연 감쇠를 고려하여 조사 후 1, 24, 48 시간 마다 측정하여 감쇠를 평가하였다. 시료 간 나타날 수 있는 오차 적용을 위해 10개 시료에 대해 배경선량을 측정 하였으며, 조사 및 선량평가 후 동일 시료를 재사용하여 시 료의 반복사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3. 측정

    방사선조사 및 광 자극 발광(OSL)기법을 통한 피폭선량 측정은 Bialkali EMI 9235 QA PMT가 장착된 Risoe TL / OSL-DA-20 TL/OSL 판독기를 사용하였다[9]. 실제 TLD, OSLD와 같은 개인피폭선량을 조사 및 측정할 수 있는 장비로 써 장치 내부에 내장된 150MBq 90Sr/90Y선원과 470 nm Blue LEDs를 조사 및 측정을 진행하였다(Fig. 3)[10].

    광 자극 발광(OSL) 측정은 40초 및 160초 Blue LED를 90% 광도로 설정하여 수행되었으며, 총 250개 데이터를 수 집하였다. 데이터 분석을 위해 40초 광 조사는 0 – 6초 및 34-40초 구간, 160초 광 조사는 0-24초 및 136-160 초 구간을 각각 선량 반응 신호 및 배경신호로 간주하여 적 분 후 분석에 적용하였다.

    Ⅲ. 결 과

    1. 시료 안정성 평가

    같은 종류 시료 10개에 대한 배경선량을 측정하였다(Fig. 4). 가장 큰 배경선량을 기준으로 평균과 표준편차를 이용 한 표준화 결과, 1± 0.01의 값으로 동일 종류 내 다른 시료 라 하더라도 실제 실험 사용 시 값의 차이가 크게 나타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다.

    2. 선량 반응도 평가

    9개의 조사선량 구간마다 나타나는 선량 반응도를 나타 냈다(Fig. 5). 방사선 조사 후 40 초 및 160 초 광 조사를 통한 방사선 검출 반응도는 0.06 -15 Gy의 선량구간에서 일정한 선형성을 나타내며, 방사선 반응에 대해 안정적으로 나타났다. 또한, 최저 선량(zero-dose)와 최소검출하한치 (Minimum Detectable Dose, MDD)는 각각 18.08 mGy, 35 mGy로 나타났다(Eq. 1, 2).

    [ ( a b ) × x ] / n
    (Eq.1)

    [a = back-ground dose, b = after irradiation of initial minimal dose,

    x = initial dose, n = sample counts]

    ( σ x ) 3
    (Eq.2)

    3. 반복사용을 통한 시료 재사용 평가

    방사선 조사 후 광 자극 발광(OSL)기법을 통한 방사선량 측정 및 평가 실시 후 동일 시료에 대해 동일 선량 조사 후 나타나는 결과를 나타냈다(Fig. 6). 선량 반응도 평가와 같 이 40초 및 160초 광 조사를 통해 방사선량 측정 결과 재사 용 여부는 큰 영향 없이 초기 측정값과 일정한 반응도를 나 타냈다.

    다만, 40초 광 조사를 통한 방사선량 반복 측정 시 160초 광 조사를 통한 방사선량 판독 값보다 높은 초기 값이 나타 났다. 이는 시료 내에 누적된 피폭 방사선량의 값으로 간주 되며, 이는 광 자극 발광(OSL) 판독 시간이 다소 부족하여 나타난 결과로 생각된다.

    4. 감쇠율 평가

    1 Gy 방사선 조사 후 시간 경과에 따라 나타나는 시료 내 방사선 감쇠를 평가하였다(Fig. 7). 본 연구에 사용된 시료 에 대한 광 자극 발광(OSL) 신호는 조사 경과 시간에 따라 감쇠하는 특성을 나타냈다. 초기 1, 24, 48시간 경과 후, 각 각 약 44%, 45%, 48%의 감쇠를 나타낸다. 감쇠곡선을 통해 나타난 결과는 본 시료를 이용한 실제 선량 복원 시 보정 값 으로 사용될 수 있다.

    Ⅳ. 고 찰

    2011년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 후, 최근 동일 지역 내에 서 15일 후 400mSv 선량이 검출되었으며, 인근 지역 거주 민의 경우 최대 시간당 0.5mSv의 피폭을 받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11]. 또한 의료방사선의 경우 치료의 목적으로 사용 되기에 그 성격상 방사선 노출장해로 간주하지 않는다. 그 러나 자연방사선 및 건강 검진 및 치료의 목적으로 수반되 는 방사선 노출의 장해유발은 수정체의 백내장 유발, 불임 등을 포함한 확률적 장해의 요인으로 이어질 수 있다[12]. 이에 방사선 조사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장해는 무시되 어서는 안된다고 생각한다. 이와 같은 이유로 방사선작업종 사자를 포함하여 개인피폭선량계를 소지하지 않는 일반인 의 신속한 피폭 방사선량 측정 및 복원은 긴급 상황을 그 중 요도가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는 위와 같은 목적으로 물질과 방사선의 상호작용 특성을 이해하고 신용카드, 신분증 등의 내부에 존재하고 실생활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스마트 칩 카드를 이용하여 방사선 조사 및 광 자극 발광(OSL)기법 적용을 통한 물질의 방사선 반응도 및 피폭선량 복원 가능성에 대한 연구를 진 행하였다. 방사선 조사에 사용된 칩 카드 한쪽 면은 일반적 인 칩 카드에서 볼 수 있는 칩을 읽는 기계와 접촉하는데 사 용되며 금색 접점으로 되어있으며, 결정구조를 가지고 있지 않아 방사선 조사 후 열 또는 광 자극에 의해 반응하지 않는 다. 이에 스마트 칩 카드 후면에 부착된 자외선 경화 에폭시 레진을 물리적으로 추출하여 광 자극 발광(OSL) 기법을 적 용하여 피폭방사선량 측정 및 복원을 진행하였다. 동일 시 료에 대해 같은 방사선량을 조사하더라도 방사선 반응도의 차이가 나타날 수 있는 가능성을 대비하여 동일 시료 10개 에 대해 배경선량을 측정한 결과 1%의 오차로 시료 간 방사 선반응도 편차는 매우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사된 선량(0.06-15Gy) 범위 내에서 광 자극 발광(OSL)기법 적 용을 통해 선량 측정을 한 결과 선형적인 반응을 나타내었 으며, 이를 통해 스마트 칩 카드의 전리방사선 반응도가 민 감하게 나타나며 조사된 선량은 Blue light를 통해 측정이 가능하다는 증거를 제시할 수 있었다[13]. 또한, 기존 광 자 극 발광(OSL) 기법을 적용하여 사후방사선량이 평가되었던 타 시료(유리, 저항, 벽돌 등)에 비해 빠르게 추출할 수 있다 는 장점과 더불어 낮은 방사선 감쇠율과 최소검출하한치 (MDD)를 나타냄으로써 사후피폭선량 측정에 효과적인 시 료로 사용될 가능성을 나타냈다[14,15]. 단, OSL 기법 적용 시 광 조사 시간(40, 160초)에 따른 선량 측정 결과 및 누적 선량의 값이 다르게 나타남에 따라 적절한 광 조사 시간 설 정에 대해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더불어 추후 실제 사 고 발생 시 선량복원의 정확한 평가를 위해 개인의 방사선 피폭 노출 시간 및 경과 시간, 세부적인 감쇠 속도 및 시간, 사고 선량으로부터의 거리 등의 세밀한 분석 조건을 추가로 진행하여 신속하고 정확한 인체 피폭 방사선량 측정 및 복 원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다.

    Ⅴ. 결 론

    스마트 칩 카드의 광 자극 발광(OSL)기법 적용으로 측정 된 방사선 반응도는 0.06 –15 Gy 사이의 선량에서 선형적 반응도를 나타냈다. 방사선 조사 후 경과 시간에 따라 1, 24, 48시간 동안 각각 약 44%, 45 %, 48 %의 감쇠를 나타 냈다. 시료 간 나타날 수 있는 편차를 측정하기 위해 동일 종류 10개에 대한 안정성 측정 결과 시료 간 오차는 1 %로 편차는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방사선 조사 및 광 측정 후 반복 사용에도 동일한 반응을 나타내어 광 자극 발광(OSL) 기법을 통한 선량 측정 후 동일 시료에 대한 재 사용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스마트 칩 카드의 광 자극 발광(OSL)기법 을 이용하여 고용량 방사선 누출 사고 발생 시 즉각적인 피 폭 선량 측정 가능하다고 생각된다. 추후 장기간에 걸친 신 호 감쇠 특성을 평가하고 피폭 후 긴 경과 시간에도 정확한 보정이 가능하도록 시료의 수를 늘려 최소검출하한치(MDD) 의 정교한 수치를 산출하여 실험 오차를 줄여 정확한 연구 결과를 산출 할 예정이다.

    감사의 글

    본 연구 수행을 위한 연구비 수혜는 (재단)한국원자력안전재 단 안전규제 적용을 위한 열발광/광자극발광 기법 이용 피폭선 량 사후평가 최적화 기술 개발(과제번호 1075000738)를 통해 이뤄졌음을 밝히는 바입니다.

    Figure

    JRST-42-5-379_F1.gif

    Schematic of TL and OSL mechanism.

    JRST-42-5-379_F2.gif

    Smart chip card used in public. (a) Smart chip cards are embedded in mobile phone, credit card, etc. in public. It has some characteristics that easy to extract in case of radiation accident to measurement radiation dose and simple preparation process to experiment. (b) The uv epoxy resin of back side of smart chip cards reacts to radiation dose and light. Thus it can be used to measurement of radiation dose and reconstruction of radiation.

    JRST-42-5-379_F3.gif

    Radiation dose measurements reader (Risoe TL/OSL-DA-20 TL / OSL). After irradiation, the dose of radiation to sample are measured by this reader using built-in blue light source.

    JRST-42-5-379_F4.gif

    The result of normalization of samples back-ground dose. It shows only 1% error between the samples and it will not affect the test results even if several samples of the same kind are used.

    JRST-42-5-379_F5.gif

    The result of response of smart chip card after irradiation for 40 s and 160 s to measurement radiation dose by using blue light. (a) and (b) are show the results of data obtained by stimulating blue light for 40 s and 160 s after irradiate to smart chip card for 1 Gy, 2 Gy, and 5 Gy dose, respectively. Both graphs are consists of 250 data points. In other words, one dose response point per 0.16 and 0.64 s for 40 s and 160 s stimulating time, respectively. The figure shows that decreases as an exponential function as a whole. The longer light time to excite electrons in traps induces the emission of the radiation amount signal continues, the less the cumulative dose remaining in the sample. Figure (c) shows the results of 0 to 6 s and 34 to 40 s (figure (a), for 40 s blue light stimulation), 0 to 24 s and 134 to 160 s (figure (b), for 160 s blue light stimulation), respectively. The linearity of each dose (0.06 - 15 Gy) interval is shown. and linearity of the radiation reactivity of the samples used in this study was verified.

    JRST-42-5-379_F6.gif

    The results of recycling of smart chip card. After irradiation, the absorbed dose in the sample was repeatedly measured by OSL measurement. Absorbed dose measurements by OSL show a constant response to radiation, regardless of repeated use. However, the difference in initial doses is shown when the radiation is re-irradiated. This indicates that the accumulation of the dose in the sample during OSL measurement of 40s, which is relatively short in reading time, is shown.

    JRST-42-5-379_F7.gif

    The result of the decay rate (fading). The decay rate shows 44 %, 45 %, 48 % after one hour, 24 hours, 48 hours since irradiation, respectively. After the initial irradiation, it shows a somewhat higher decay rate, but it is presumed that there will be little change thereafter for a long time.

    Table

    Symptoms of exposure dose in clinical field

    Radiation exposure in living. Exposure to radiation absorbed by the human body is not higher than exposure to artificial radiation. For this reason, the radiation dose used for diagnosis and treatment is excluded from the does calculated.

    Reference

    1. Clemens W, Thomas S. On the use of OSL of wire-bond chip card modules for retrospectiveandaccident dosimetry. Radiation Measurement. 2009;44(5-6): 548-53.
    2. Murraya AS, Wintleb AG. The single aliquot regenerative dose protocol: potential for improvements in reliability. Radiation Measurements. 2003; 37(4-5):377-81.
    3. Lee JI, Chang I, Pradhan AS, Kim JL, Kim BH, Chung KS. On the use of new generation mobile phone (smart phone) for retrospective accident dosimetry. Radiation Physics and Chemistry. 2015;116:151-4.
    4. Trans Tech Publications Ltd. Luminescence Related Phenomena and Their Applications: Special Topic Volume with Invited Peer Reviewed Papers Only. 1st ed. Zurich, Switzerland, Trans tech publications; 2014.
    5. Wintle AG, Adamiec G. Optically stimulated luminescence signals from quartz: A review. Radiation Measurements. 2017;98:10-33.
    6. Park JK, Son SJ, Park MH. Comparison on the Dosimetry of OSLD and PLD Used in Nuclear Medicine. JRST. 2019;42(1):47-51.
    7. Park SW, Lee JL, Kim HT, et al. Retrospective dose measurement using Optical Stimulated Luminescence (OSL) Characteristic of smart chip card for radiation accident, 1st ed. Jeju Island, Korea. Conference of Korea Association For Radiation Protection. 2017; 394-95.
    8. Pradhan AS, Lee JI, Kim JL. Use of OSL and TL of Electronic Components of Portable Devices for Retrospective Accident Dosimetry. Defect and Diffusion Forum. 2014;347:229-45.
    9. Mrozik A, Marczewska B, Bilski P, Ksiazek M. OSL signal of IC chips from mobile phones for dose assessment in accidental dosimetry. Radiation Measurement. 2017;98:1-9.
    10. Bøtter-Jensen L, Thomsen KJ, Jain M. Review of optically stimulated luminescence (OSL) instrumental developments for retrospective dosimetry. Radiation Measurement 2010;45(3-6):253-7.
    11. Bachev H, Ito F. Fkushima nuclear disaster – implications for Japanese agriculture and food chains. 1st ed. Tohoku of Japan, Munich Personal RePEc Archive; 2013.
    12. Jeong MY, Gwon DC, Gwon SI. Effectiveness of Bismuth Shield to Reduce Eye Lens Radiation Dose Using the Photoluminescence Dosimetry in Computed Tomography. JRST. 2009;32(3):307-12.
    13. Mathur VK, Barkyoumb JH, Yukihara EG, Goksu HY. Radiation sensitivity of memory chip module of an ID card. Radiation Measurement. 2007;42(7): 43-8.
    14. Clemens W, Irene F. Thomas S. On the use of OSL of chip card modules with molding forretrospective and accident dosimetry. Radiation Measurement. 2012;47(11):1068-73.
    15. Clemens W, Celine B, Francois T, Emanuela B, Sara Della M, Paola F. Radiation-induced damage analysed by luminescence methods in retrospective dosimetry and emergency response. Ann Ist Super Sanata. 2009;45(3):297-306.